-
라틴어 글자 및 읽는 법 - 2. 발음과 관련된 규칙라틴어 수업 2020. 8. 11. 01:10
1. 모음의 장단
a, e, i, o, u, y는 독립적으로 소리 날 수 있는 모음이다. 그런데 이들 모음은 글자는 같은 것이면서, 경우에 따라서 장모음이 되기도 하고, 단모음이 되기도 한다. 사전에 모음위에 작대기(-; ā, ē, ī, ō, ū) 또는 가랑이표(^; â, ê, î, ô, û)를 가로로 그어놓은 것은 긴 모음의 표시이고, 활등 같은 표(‿; ă, ĕ, ĭ, ŏ, ŭ)를 그어놓은 것은 짧은 모음의 표시이다. 그러나 현재에는 정확한 구별은 거의 하지 않고 있으며, 악센트의 위치 결정이나 특별한 격의 표시를 위해서만 사용되고 있다.
2. 음절
모음을 중심으로 거기에 떨어질 수 없도록 앞뒤로 붙어있는 자음을 포함한 소리의 마디를 음절이라고 한다. 단, 중모음 ae, oe, eu는 자음과 함께 한 음절을 이루지만, 한 개의 자음과 연결된 모음이 또 하나의 모음을 가지는 명사는 각각 한 음절을 가진다.
- 두 모음 사이에 한 개의 자음이 나올 때는, 그 자음은 항상 뒤에 오는 모음과 함께 발음되며 한 음절을 이룬다.
예) papa = pa/pa,
seminarista = se/mi/na/ri/sta
populus = po/pu/lus
vinum = vi/num
humanitas = hu/ma/ni/tas
lumen = lu/men
finis = fi/nis
- 중모음은 자음과 함께 한 음절을 이룬다.
예) poena = poe/na
caelum = cae/lum
coena = coe/na
- 두 모음이 중모음이 아니라 따로따로 발음될 때에는 각각 한 음절을 이룬다.
예) aer = a/er
gloria = glo/ri/a
curia = cu/ri/a
pius = pi/us
Deus = De/us
adiutorium = a/di/u/to/ri/um
benedictio = be/ne/dic/ti/o
- 두 모음 사이에 두 개의 자음(이중 자음도 포함)이 나올 때에는, 첫 번째 자음에서 나누어져, 앞의 자음은 앞의 모음과 뒤의 자음은 뒤의 모음과 발음되며 한 음절을 이룬다.
예) alba = al/ba
missa = mis/sa
ambo = am/bo
angelus = an/ge/lus
annus = an/nus
documentum = do/cu/men/tum
ordo = or/do
tempus = tem/pus
passio = pas/si/o
- 그러나 두 모음 사이에 두 개의 자음들에서 앞의 자음이 b, c, d, g, k, p, t, q 또는 ch, ph, th 같은 파열음이고, 뒤의 자음이 l 또는 r 같은 유음이 나올 때에는, 두 자음은 모두 뒤에 나오는 모음과 함께 발음되며 한 음절을 이룬다. 그러나 합성어로 인해서 연결되었다면 각기 따로 발음하여야 한다.
예) mitra = mi/tra
rubrica = ru/bri/ca
lavacrum = la/va/crum
christus = chri/stus
adrempo = ad/rum/po
- 두 모음 사이에 셋 이상의 자음들이 나올 때에는 처음 두 자음은 앞에 있는 모음에 붙이고, 세번째 자음은 뒤에 나오는 자음에 붙이며 각각 한 음절을 이룬다. 또한, chr, scr, str은 떨어지지 못하는 것이기에 모두 뒷모음에 붙여준다.
예) sanctus = sanc/tus
- 그러나 셋 이상의 자음 중 두 자음이 파열음과 유음이라면, 첫 자음은 앞의 모음과 함께 발음되고, 나머지 자음은 뒤에 오는 모음과 함께 발음하며, 각각 한 음절 또는 chr, scr, str은 떨어지지 못하는 것이기에 모두 뒷모음에 붙여준다.
예) templum = tem/plum
constructio = con/stru/cti/o
3. 악첸뚜스(accentus)
단어의 어떤 음절에다 힘을 주어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라틴어의 악센트 결정에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다.
1) 단음절은 그 음절이 악센트를 받는다.
예) hic, hoc, nox, pax, lux
2) 두 음절 단어는 앞에서 첫 번째 음절이 악센트를 받는다. 장모음인 첫 음절에는 자연히 일종의 강세가 가해진다.
예) virgo(vir/go), pater(pa/ter), mater(ma/ter)
3) 셋 이상의 다음절일 때는,
a) 끝애서 두 번재 음절에 악센트가 붙는다.
예) cultura = cul/tu/ra
persona = per/so/na
peccator = pec/ca/tor
diaconia = di/a/co/ni/a
b) 끝으로부터 두 번재 음절의 모임이 긴 것일 때는 그 두 번째 음절에 악센트가 있다.
예) doctirna = doc/tri/na
potestas = po/tes/tas
c) 끝으로부터 두 번째 음절의 모임이 짧은 것일 때는 하나 더 올라가서 세 번째 음절에 악센트가 있다.
예) caritas = ca/ri/tas
veritas = ve/ri/tas
unitas = u/ni/tas
largitas = lar/gi/tas
cathedra = ca/the/dra
ecclesia = ec/cle/si/a
historia = his/to/ri/a
communicatio = com/mu/ni/ca/ti/o
divinitas = di/vi/ni/tas
misericordia = mi/se/ri/cor/di/a
4) 한 단어가 음절이 늘어날 때에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악센트가 붙는다.
예) lec/tio → lec/ti/o/nis
pas/tor → pas/to/ris
do/mi/nus → do/mi/no/rum
hu/mi/li/tas → hu/mi/li/ta/tis
sanc/ti/tas → sanc/ti/ta/tis
com/mu/ni/o → com/mu/ni/o/nis
4. 라틴어 대문자의 용도
라틴어 문장의 시작은 대문자를 사용하며, 삼위일체 하느님과 성인, 교회, 교황과 관련된 단어는 문장의 중간에서라도 대문자를 사용해야한다. 그리고 인칭대명사 복수 1인칭 nos는 왕이나 교황이나 주교, 기타 고위 인사가 공식적으로 자기를 지칭할 때 존귀[위엄]의 복수로 대문자 "Nos"로 표기한다.
'라틴어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틴어 접두어 (0) 2020.08.13 라틴어 글자 및 읽는 법 - 1. 알파벳 발음법 (0) 2020.08.05 베네딕토 16세 교황 성하의 자의 교서 - 라틴어(Latina Lingua) (0) 2020.08.02